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5

백준 4344번 평균은 넘겠지. 문제 : 대학생 새내기들의 90%는 자신이 반에서 평균은 넘는다고 생각한다. 당신은 그들에게 슬픈 진실을 알려줘야 한다. 입력 :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C가 주어진다.둘째 줄부터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학생의 수 N(1 ≤ N ≤ 1000, N은 정수)이 첫 수로 주어지고, 이어서 N명의 점수가 주어진다. 점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 각 케이스마다 한 줄씩 평균을 넘는 학생들의 비율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5 50 50 70 80 100 7 100 95 90 80 70 60 50 3 70 90 80 3 70 90 81 9 100 99 98 97 96 95 94 93 91 예제 출력 1 40.000% 57.143%.. 2022. 4. 1.
백준 1110번 더하기 사이클. 문제 :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26부터 시작한다. 2+6 = 8이다. 새로운 수는 68이다. 6+8 = 14이다. 새로운 수는 84이다. 8+4 = 12이다. 새로운 수는 42이다. 4+2 = 6이다. 새로운 수는 26이다.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N이 주어졌을 때, N의 사이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첫째.. 2022. 4. 1.
백준 2884번 알람 시계. 문제 : 상근이는 매일 아침 알람을 듣고 일어난다. 알람을 듣고 바로 일어나면 다행이겠지만, 항상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 때문에 매일 학교를 지각하고 있다.상근이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보았지만,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은 그 어떤 것도 없앨 수가 없었다.이런 상근이를 불쌍하게 보던, 창영이는 자신이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해 주었다.바로 "45분 일찍 알람 설정하기"이다.이 방법은 단순하다. 원래 설정되어 있는 알람을 45분 앞서는 시간으로 바꾸는 것이다. 어차피 알람 소리를 들으면, 알람을 끄고 조금 더 잘 것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매일 아침 더 잤다는 기분을 느낄 수 있고, 학교도 지각하지 않게 된다.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알람 시각이 주어졌을 때,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한다면, 이를 언제로 고쳐.. 2022. 4. 1.
백준 2588번 문제 곱셈. 문제 : (1)과 (2)위치에 들어갈 세 자리 자연수가 주어질 때 (3), (4), (5), (6)위치에 들어갈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첫째 줄에 (1)의 위치에 들어갈 세 자리 자연수가, 둘째 줄에 (2)의 위치에 들어갈 세자리 자연수가 주어진다. 출력 : 첫째 줄부터 넷째 줄까지 차례대로 (3), (4), (5), (6)에 들어갈 값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472 385 예제 출력 1 2360 3776 1416 181720 문제 해답 방법(1) a = int(input()) b = input() x = [a*int(i) for i in reversed(b)] print(x[0],x[1],x[2],a*int(b),sep='\n') # b의 값을 뒤바꿔줘야 순서대로 곱해서 pri.. 2022. 4. 1.
백준 10689번 문제 사칙연산. 문제 :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 이때, A+B, A-B, A*B, A/B(몫), A%B(나머지)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 (1 ≤ A, B ≤ 10,000) 출력 : 첫째 줄에 A+B, 둘째 줄에 A-B, 셋째 줄에 A*B, 넷째 줄에 A/B, 다섯째 줄에 A%B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7 3 예제 출력 1 10 4 21 2 1 문제 해답 (1)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 + b) print(a - b) print(a * b) print(int(a / b)) # 나눈 값이라 정수화 시켜야함. (7 / 3) == 2.03333... int(7 / 3) == 2 print(a % b) 2022. 4. 1.